Artist Statement

 

New Media as Subject Matter and Its Hybrid Nature
As a new media artist, I consider digital technology as an important subject matter as well as the tool for the art expression. I also take advantage of “hybridization” of digital medium and other traditional art media. Computer programming, 3D animation technology, non-linear digital video, computer aided sound have been mainly used for my art making along  with supplemental traditional media such as painting, photography, sculpture, projection, performance and installation.

Human &  Digital Society: living-together-with-technology
While utilizing the computer to create graphical representations, and self-referencing the structure of digital technology, I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phenomena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chnology, which transmitted our way of living into unprecedented stage. I produced various works dealing with post-human conditions in techno-cultural society, such as cyborg (Dmorph, 2002), virtual identity( Selves, 2005), a pregnant woman suffering from environmental white noise (Malnutrition:Case 1 ­ Noise, 2002), human computer interacting spaces (Dual Space, 2003) ) and digital flesh ( VirtualBody, 2003).
My later interest is in implementing interactive space where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chine entity offered by the contemporary technology can be explored and rethought.  Especially Symbiosis series( Symbiosis 1, 2, 2005-2006) examines the condition of a processed (or technologically mediated) body images in the domain of technology-driven systems and the meaning of “living-together-with-technology” in our daily life.

Expanded Media  Art
I have been also fascinated by the so called “expanded media”, the expanded realm of digital art combined with tangible materials in a physical space so that the work is interactive and communicative with audiences physically and  tangibly, overcoming the immaterial aspect of digital art.  For example, FalseBody(2007-2009) comprised of digital animation and a series of digital prints exploring the immaterial aesthetics of digital culture by engraving the image of the digitally-generated body from an odd perspective of 3D virtual camera onto plexiglass, a tangible physical material. Uri(2007), a robot-kinetic public installation, is another work that explores  this idea of expanded media art.

Current Interests
Currently my interest is broadened in wider range of issues in relation to human interaction to human, private/public spaces and the environment. I often like to juxtapose and mix the different kinds of spaces; nano vs macro, virtual vs real, artificial vs organic – into a physical space where viewers can enter and contemplate on.(ex. Cross Dimension series(2010), Nano Urbanism(2011)) I also like to state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around the human development of urban environment in our contemporary time. (Gigeum-dong project, 2011)

 

작가노트

나는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이루어낸 미학적,사회 문화적 변화들에 관심을 가지면서, 디지털 테크놀러지의 비물질성과 인간이 테크놀로지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변화된 일상, 이에서 작가가 느낀 편치 않음과 불안, 더 나아가 포스트 휴먼적인 현상들을 개인적이고 관조적인 톤으로 풀어내고자 노력해 왔었다.
최근의 작품들을 통해서는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경계에서 조각, 설치, 프린트 등의 기존의 예술 매체에 뉴미디어와 혼성을 통해 디지털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작품이 가지는 비물질적 현상을 극복하고, 물리적이고 촉감적으로 관객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인터액티브 오브제적 요소를 가진 확장매체아트(Expanded Media Art)를 추구해 오고 있다. 디지털이라는 것이 가지는 공허함을 직접 만지고, 체험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촉감적인 매체와 함께 사용하며,매체와 감각, 나아가 차원(Dimension)의 혼성(Hybridization)이라는 실험을 해본다.

뉴미디어 주제의식과 매체 혼성
뉴미디어를 다루는 작가로서 디지털 테크놀로지는 작업을 하기 위한 도구 이상의 의미가 있다. 이것은 도구이자 나의 작품 주제로서 자주 등장해 왔으며, 디지털 매체와 다른 전통적인 매체가 결합된 혼성의 결과물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 회화, 사진, 조각, 프로젝션, 퍼포먼스 및 설치 등의 전형적인 예술구현방식이, 컴퓨터 프로그래밍, 입체영상기술, 비선형 비디오 편집기술등과 접목되어 새로운 형태로 등장한다.

디지털사회와 인간, 함께 살아가기
컴퓨터를 이용해 작업을 계속하면서, 나는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이루어낸 사회 문화적 변화들 – 특히 인간의 삶과 관계된 변화들에 관심을 가지면서, 사이보그(디모프-Dmorph, 2002), 가상적 자아(셀프 – Selves, 2005), 화이트노이즈와 임신(멜뉴트리션: 케이스1- 소음 – Malnutrition: Case1-Noise, 2002), 컴퓨터와 인간의 상호작용공간(이중공간- DualSpace, 2003)과 디지털 플레쉬(버츄얼바디- Virtual-Body, 2003) 등 인간의 포스트휴먼적인 상태를 주제로 한 작품들을 제작해 왔다. 이후 인간과 기계가 공생하며 서로 상호 작용해 나가는 유기적이고 인터액티브한 공간의 설계에 관심을 가지면서 “로봇공생시리즈“(Symbiosis Ver 1.0, 2.0, 2005-6)를 시작했고, 계속하여 작가는 테크놀로지 중심적인 사회 속에서 변성되고 필터 되는 인간의 “몸”의 상태와, “테크놀로지와 함께 살아가기”에 대한 의미를 재해석하고자 했다.

확장매체론
나는 또한 디지털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작품이 가지는 비물질적 현상을 극복하고, 물리적이고 촉감적으로 관객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인터액티브 오브제적 요소를 가진 소위 “확장매체”를 대안적으로 추구한다. “오류의 몸”(Falsebody, 2007-2009)은 디지털 문화의 비물질적 미학을 대표하는 3D 가상카메라의 과장된 투시영상을 애니메이션과 일련의 레이저 에칭 플랙시글래스 판넬로 역설적으로 형상화 했다. 로봇기술을 이용한 키네틱 공공설치물인 “우리”(Uri, 2007) 또한 이런 확장매체예술의 연장선상에서 제작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작품인 “혼재”(Cross Dimension, 2010) 시리즈는 나노분자의 시각적 구조와, 피지컬한 매체, 증강현실 등의 기술들을 활용해 나노와 매크로의 스케일, 미시의 차원과 거시 차원의 섞임과 혼재, 중첩을 표현해 보고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