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eces of Me Project (2013)
a series of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works for the following solo exhibition :

 

Hyun Ju Kim(ex-media) : Pieces of Me
3/16-3/28, 2013
Kunstdoc Gallery
122-9 Changsung-dong, Jongno-gu, Seoul, South Korea
+82.2.722.8897 www.kunstdoc.com

Opening Reception : Sat 16.3 17:00
Performance: Sat, 03.16 17:30, Sun, 17.03 16:00
Artist Talk: Sun the 17th 4:30 p.m. to 6:00 p.m.

Supported by
Arts Council Korea
KunstDoc Gallery
Expanded Media Studio at Korean German Institute of Technology(KGIT)
KAIST Graduate School of Culture Technology

This project is supported as a part of Culture and Arts Endowment(Moon-Ye-Jin-Heung) Grant by Arts Council Korea and by KunstDoc Gallery in supporting solo exhibitions for its juried artist support competition 2013.

 

Directed by Hyun Ju Kim(ex-media) in collaboration with: Kim Yi-Kyung (choreography & costume design), Lee Ji Sun (performance), Park Soon-Young (sound)
March 16, 2013 (17:30), March 17 (16:00), 2013, KunstDoc Gallery 1F

 


Artist Statement

나는 접속되고 기다린다. 내가 기다리는 그들이, 내가 알든 모르든, 나의 존재의 조각들을 읽어내고 찾아 올 수 있도록 나는 인내하고 기다린다. 나의 몸(“유영하는 나의 자아”)은 작고 작은 비트가 되어 광활한 사이버네틱 공간에 흩뿌려지고, 다른 몸들과 뒤섞이고 연결된다. 그것이 나와 우리의 몸이다. 나와 그와 그들의 기쁨과 슬픔과 외로움과 분노의 모든 감정과 역사와 기억이 이곳에서 해체되고 다시 구성된다. 우리는 이제 집단감성체인가.. 그러나 나는 더 공허하다.

이번 전시의 설치와 퍼포먼스 작품을 통해, 나는 “네트워크”또는 “접속”이 불러오는 분산된 신체와 정체성의 문제, 집단 감성의 문제, 그리고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나는 네트워크의 불편한 풍요로움과 깊숙한 공허함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Pieces of Me I, II]에는 2013년 3월 어느 날 밤과 새벽, 내가 알지 못하는 수많은 이들의 외로움의 글들을 담았다. 그리고 90초에 한번씩 고독에 대한 불특정 다수의 글을 영상으로 흩뿌린다. 나의 실존은 퍼포머의 몸과 빛으로 흩뿌려지거나 흐트러져 매달려 있는 트윗글들 사이로, 그리고 그 속에서 함께 공존할 관객과 뒤섞이고 확장된다. 가상의 SNS 공간과 실제 갤러리의 물리적 공간에 트윗봇(TweetBot)이 있고, 서로 다른 객체와 공간을 이어주는 에이전트로, 또한 기술적 상징으로 공존하게 된다. 갤러리의 관객은 작가의 오랜 독백들을 하나씩 트윗봇(TweetBot)을 통해 트윗으로 얻어 보게 된다.

디지털에 의한 탈물질화된 신체성은 [Pieces of Me III-FalseBody]에서 역설적으로 물질화 한다. 레이저로 자르고 깍아 새긴 디지털화된 몸의 이미지는 관객들에게 하나 하나 작은 조각들로 나누어주고자 한다. 나는 그것들이 다시 SNS의 가상 공간 속으로 다시 모일 수 있을까 궁금하다. 전시는 물리 공간과 트위터, 그리고 패이스북의 SNS 공간에 함께 병존한다.

I connect and wait for them. Whether they are known to me or not, I do this until they find pieces of me and visit me to like or retweet me. Broken into pieces of finite bits, my body (“pieces of me”) is spread to the endless cybernetic space, intermingled with other bodies and inter-connected among altogether after all. They are our bodies, with all sorts of emotions, and with the history and the memory of the past that are dismantled and re-constructed in this cyberspace. Are we now part of this emotional collective? Nevertheless, ever more emptiness overwhelms me.

Through the installation and the performance works in this exhibition, I intended to bring forward the ironic status of being connected or networked, and the subject matter of the distributed body and identity as parts of emotional collective. The abundance of relationships in our networked life seems not to replace human being’s existential loneliness inside us but to deepen it even further.

For the work [Pieces of Me I, II], I retrieved real-time tweets of “cyber-loneliness” from the unspecified users of the Twitter which are displayed as a part of video projection, refreshing its search by every 90 seconds. The existence of “me” is scattered out through the air and the projector-lit space around the body of the performer and the viewer. Serving as a symbol of the technologic console and as an agent telematically connected to the virtual SNS space, the TweetBots send tweets to Twitter while interacting with the viewer in the gallery space.

The immaterial physicality of the digital is embodied ironically in the work of [Pieces of Me III-FalseBody]. The image of digitally represented body is laser-etched and cut into pieces so that viewers can a piece bring home and upload its status to the Facebook. I wonder if it is possible to bring these distributed pieces of the body back to the cyberspace. The exhibition co-exists in both the physical gallery space and the SNS space of the Facebook.